폴리카보네이트란

폴리카보네이트는 방향족 폴리탄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이며, 뛰어난 기계적 성질, 내열성, 내한성 및 전기적 성질을 균형있게 갖춘데다가 투명하고 자소성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는 이른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대표적인 것입니다. 1956년 서독의 Bayer사의 슈넬이 비스페놀 A를 원료로 폴리카보네이트를 발표하고 동사의‹마크로홀›(필림), ‹마크롤론›(성형재료)이 공업제품의 최초의 것으로서 1958년에 시장에 출하하였고, 미국에서는 GE의 ‹렉산›이 1960년에 공업화되고 그 후에 Mobay사에서도 ‹마론›이 발표되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기계적 특성
폴리카보네이트의 충격강도는 유리의 250배의 강도를 가지며, 굴곡강도 및 인장강도가 매우 우수합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열적 특성
-50℃에서 140℃까지 물성의 특성이 유지되는 우수한 수지로써 전세계 어디서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재료 | 열변형온도(℃) |
---|---|
폴리카보네이트 | 135 ~ 140 |
아크릴 | 71 ~ 102 |
ABS | 77 ~ 107 |
FRP | >200 |
PVC | 60 ~ 77 |
폴리카보네이트의 광학적 특성
스펙트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시광선영역에서 폴리카보네이트 Sheet는 82~92%의 빛을 투과시킵니다. 아래의 그림은 파장변화에 따른 빛의 투과도와 두께변화에 따른 광투과율을 보여 줍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음향적 특성
일반적으로 균일한 재료로써 소위 질량에 따른 투과손실은 면밀도에 비례합니다. 그러나, 고무등은 항상 질량에 비례하지는 않고, 투과손실은 질량 계산치 보다 큰 특성을 나타냅니다. PC sheet도 이와 비슷한 성질을 나타내며 질량의 계산치 보다 조금 더 큰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파수(HZ) | 투과손실(dB) |
---|---|
100 | 18.4 |
200 | 19.6 |
315 | 21.8 |
400 | 23.5 |
500 | 25.0 |
630 | 26.5 |
800 | 28.5 |
1000 | 31.1 |
1250 | 32.3 |
1600 | 34.2 |
2000 | 35.2 |
2500 | 35.8 |
4000 | 35.7 |
5000 | 32.7 |

폴리카보네이트의 내화학적 특성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반적으로 알콜, 기름, 약산에 안정하고 약알카리성, 강산에 대해서도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그러나 방향족 탄화수소, 염소계 지방족 탄화수소에서는 용해 됩니다. 또 고온이거나 부하상태에서 크랙을 발생시키는 등의 약점도 있기 때문에 주위해야 하며 다음 약품에는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약화상태 | 약품 |
---|---|
분해백화 | 가성소다, 가성칼륨, 암모니아 |
황변 | 초산, 과산화수소수, 염소 |
팽윤백화 | 팽윤백화 방향족 화합물(벤젠, 톨루엔 등) 기타(사염화탄소, 아세톤, 착산에틸, 메탄올 등) |